무당의 능력 -이보-
무당의 능력 -이보- 신점, 즉 무속인을 통한 신의 점사(占辭)는 무당이 가진 신의 기운, 그리고 영감에 따라서 다섯 가지로 분류가 된답니다. 《기감, 이보, 공수, 화경, 선기》 이중 ‘이보’는 귀로 들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신령님의 의사를 목소리로써 귀로 듣고서, 머리 속에 의사로써 받아 들이는 것이지요. 신령님이나, 이미 죽은 귀신도 말로 의사를 전달합니다. 다만 그것을 일반인들은 들을 수 없지요. 들리면 아주 상당한 영의 기운을 타고난 것이거나, 종교활동이나 기도처럼 영적인 수행을 통하여 해당 부분이 발현된 경우일 겁니다. 더불어 신령님의 의사를 제대로 확인하고, 또 확신하고서 제가집에 전달할 수 있는 점사의 방법이기도 합니다. 장난기가 많은 동자, 동녀 애기씨나 가끔 헛공수를 주시는 조상님이 아..
2020. 10. 8.
무당의 능력 -공수-
무당의 능력 -공수- 신점, 즉 무속인을 통한 신의 점사(占辭)는 무당이 가진 신의 기운, 그리고 영감에 따라서 다섯 가지로 분류가 된답니다. 《기감, 이보, 공수, 화경, 선기》 이중 ‘공수’는 말문이라고도 하며, 신령님의 말씀이 무당의 입을 빌어서 나오는 다섯 종류의 영감 중 가장 중요한 능력입니다. 신령님의 말을 전달하는 부분에서는 신령님의 말을 듣고, 그대로 제가집에 전달하는 ‘이보’와 유사한 부분이 있기는 하지만, 이보는 신령님께서 내린 말씀을 대신 전달하는 것이며, 공수는 신령님께서 무당의 육신에 힘입어 직접 말씀하신다는 차이점이 있답니다. 이보와 비교했을 때, 훨씬 무거운 책임이 있으며, 그만큼 영검도 더욱 확실한 점사가 바로 신령님께서 직접 내리시는 ‘공수’입니다. 공수는 오직 완전한 접신..
2020. 10. 8.
무당의 능력 -화경-
무당의 능력 -화경- 신점, 즉 무속인을 통한 신의 점사(占辭)는 무당이 가진 신의 기운, 그리고 영감에 따라서 다섯 가지로 분류가 된답니다. 《기감, 이보, 공수, 화경, 선기》 이중 ‘화경’은 영안이라고도 하며, 어쩌면 가장 친숙하고 흔할 영능력일지도요. 말 그대로 영적인 존재나 영적인 기운을 ‘보는’ 감각입니다. 좁게 보자면 귀신이나 영가를 보는 능력이라 설명 가능하며, 넓게 보자면 제3의 눈으로, 일반적 시선으로는 볼 수 없는 운명적 요소들을 심상으로 보는 능력이랍니다. 대개의 화경, 즉 영적인 시야는 비단 귀신이나 영가를 파악할 때만이 아닌 점사에서 주로 사용되게 되는데요. 눈을 감고, 눈 앞에 펼쳐지는 하얀 세상 속에서 정신을 집중하다보면 마치 영사관에서 필름이 넘어가 듯 뿌연 형체나 장면이 ..
2020. 10. 8.
음양오행3
천간(天干) 천간은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가 있다. 십간은 다시 음간과 양간으로 나누어진다. 양간(陽干)은 갑(甲), 병(丙), 무(戊), 경(庚), 임(壬)이고 음간(陰干)은 계(癸), 을(乙), 정(丁), 기(己), 신(辛)이다. 양간의 특성은 활동적, 공격적, 직선적, 지배적, 적극적이고 음간은 방어적, 이성적, 곡선적, 소극적이며 정적이다. 천간은 원래 음양 관계에서는 양이라 하며 양은 빛나는 태양이며 하늘을 상징한다. 천간의 태양과 지구를 추상적인 의미에서 음양을 구분하였지만 천간만 가지고 세분화하게 되면 태양의 작용 속에서도 그 작용이 분열되어 음양으로 구분하게 된다. 같은 천간이라도 보편적인 논리상 고유의 개념으로 분리 독립하게 된다. 오방색은 음양오행의 오행을 색으로 나타..
2020. 10. 2.
음양 오행
음양 오행이론은 인간의 생성과 소멸이 우주의 순환이치와 같다는 전재 하에 출발한다. 태양과 수성, 목성, 화성, 토성. 금성이 달, 지구와 멀고 가까워질 때 생기는 변화 속에 영향을 받는다. 무극에서 음양으로 나누어지고 음양에서 오행으로 확장된다. 태극도설에서는 태극이 움직여 양을 낳고, 움직임이 극도에 이르면 고요하게 되는데, 고요하여 음을 낳는다. 양이 변하고 음이 합치되어 수, 화, 목, 금, 토를 낳는다. 음과 양이 한쪽으로 기울면 극과 극으로 변하게 된다. 즉 음과 양이 어울려야 만물이 순리대로 움직인다. 이것이 음양이론이다 음양사상에는 상반과 응합의 논리가 함축 되어 있다. 상반은 음양의 대립이고 응합이란 상반이 단순한 대립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항상 상호의존의 관계를 유자하면서 발전해간다 ..
2020. 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