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양오행3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음양오행3

by 고대감 2020. 10. 2.
728x90

천간(天干)

천간은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가 있다. 십간은 다시 음간과 양간으로 나누어진다. 양간(陽干)은 갑(甲), 병(丙), 무(戊), 경(庚), 임(壬)이고 음간(陰干)은 계(癸), 을(乙), 정(丁), 기(己), 신(辛)이다. 양간의 특성은 활동적, 공격적, 직선적, 지배적, 적극적이고 음간은 방어적, 이성적, 곡선적, 소극적이며 정적이다.

천간은 원래 음양 관계에서는 양이라 하며 양은 빛나는 태양이며 하늘을 상징한다. 천간의 태양과 지구를 추상적인 의미에서 음양을 구분하였지만 천간만 가지고 세분화하게 되면 태양의 작용 속에서도 그 작용이 분열되어 음양으로 구분하게 된다. 같은 천간이라도 보편적인 논리상 고유의 개념으로 분리 독립하게 된다.

오방색은 음양오행의 오행을 색으로 나타낸 것으로 목(木)은 청(靑), 금(金)은 백(白), 화(火)는 적(赤), 수(水)는 흑(黑), 토(土)는 황(黃)에 대응된다. 음양오행 사상에 따르면 흰색·황색·적색은 양(陽)이고, 청색, 흑색은 음(陰)이며, 각각의 색이 지닌 의미와 상징에 따라 오방신장·오방처용무·관복·오방낭자·오색실· 색동옷·오곡·단청·화문석 등 우리의 의·식·주 생활 전반에 걸쳐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다.

동 : 청색, 봄, 간장, 신맛, 기쁨, 인

서 : 백색, 가을, 코, 폐장, 매운맛, 분노, 의

남 : 적색, 여름, 심장, 쓴맛, 즐거움, 예

북 : 흑색, 겨울, 신장, 짠맛, 슬픔, 지

중 : 황색, 비장, 단맛, 욕심,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