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6

음양오행3 천간(天干) 천간은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가 있다. 십간은 다시 음간과 양간으로 나누어진다. 양간(陽干)은 갑(甲), 병(丙), 무(戊), 경(庚), 임(壬)이고 음간(陰干)은 계(癸), 을(乙), 정(丁), 기(己), 신(辛)이다. 양간의 특성은 활동적, 공격적, 직선적, 지배적, 적극적이고 음간은 방어적, 이성적, 곡선적, 소극적이며 정적이다. 천간은 원래 음양 관계에서는 양이라 하며 양은 빛나는 태양이며 하늘을 상징한다. 천간의 태양과 지구를 추상적인 의미에서 음양을 구분하였지만 천간만 가지고 세분화하게 되면 태양의 작용 속에서도 그 작용이 분열되어 음양으로 구분하게 된다. 같은 천간이라도 보편적인 논리상 고유의 개념으로 분리 독립하게 된다. 오방색은 음양오행의 오행을 색으로 나타.. 2020. 10. 2.
음양오행2 오행의 속성 수(水)의 성질은 차갑고 서늘한 특성이 있고 아래로 흐르는 특성이 있다. 자연계의 사물과 현상 중 아래로 향하는 것은 모두 수(水)의 기질에 속한다. 수(水)가 사주에서 많으면 고집이 센 반면 남에게 베푸는 일을 잘하게 된다. 만물이 살아나가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물이다. 큰물로는 임수(壬水)가 있다. 수성을 따라 도는 또 하나의 별은 음의 물기를 머금은 채 검은 빛을 띠며 돌고 있는 별을 수성이라 한다. 물은 높은 곳에서부터 낮은 곳으로 흘러간다. 그러므로 물의 성정은 지혜롭고 유동적이며 추상적인 생명력과 원동력을 상징한다. 사주에서 물이 적게 되면 성격은 독단적이 되며 매사 반복됨이 많고 용기가 적고 계획성이 없다. 목(木)의 성질은 위로 자라나는 성질이 있다. 자연계의 모든 사물과.. 2020. 10. 2.
음양 오행 음양 오행이론은 인간의 생성과 소멸이 우주의 순환이치와 같다는 전재 하에 출발한다. 태양과 수성, 목성, 화성, 토성. 금성이 달, 지구와 멀고 가까워질 때 생기는 변화 속에 영향을 받는다. 무극에서 음양으로 나누어지고 음양에서 오행으로 확장된다. 태극도설에서는 태극이 움직여 양을 낳고, 움직임이 극도에 이르면 고요하게 되는데, 고요하여 음을 낳는다. 양이 변하고 음이 합치되어 수, 화, 목, 금, 토를 낳는다. 음과 양이 한쪽으로 기울면 극과 극으로 변하게 된다. 즉 음과 양이 어울려야 만물이 순리대로 움직인다. 이것이 음양이론이다 음양사상에는 상반과 응합의 논리가 함축 되어 있다. 상반은 음양의 대립이고 응합이란 상반이 단순한 대립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항상 상호의존의 관계를 유자하면서 발전해간다 .. 2020. 9. 30.
무속과 치우천왕 무속과 치우천왕 치우천왕은 우리민족의 시조인 환인이 개국하고 다스리던 환국의 뒤를 이어 환웅천왕이 건국한 배달국의 제 14대 천왕이다 B.C. 270년에 즉위하여 109년간 나라를 통치 했던 역사에 실존했던 왕이다 다른 이름으로 자오지(慈烏支) 환웅이라 하고 신처럼 용맹하고 뛰어났다고 하며 큰 안개를 일으키는 도법을 사용하였다 한다. 전쟁의 신이라 하고 중국에서도 신으로 받들며 그들의 역사에 편입하려 억지를 쓰소 역사를 왜곡하려 한다 치우란 말의 뜻은 우레와 비를 크게 만들어 산과 강을 바꾼다는 말이다 또한 철광석을 캐어 철을 주조하는 병기제작 술이 뛰어나 치우천왕이라 불렀다 한다 치우천왕은 중국의 황제와 73회의 전투에서 모두 승리 하였으나 마지막 전장인 탁록에서 구천선녀의 도움으로 황제가 승리한다 황.. 2020. 9. 28.
신병 혹은 무병 신병은 무당이 될 사람에게 오는 병이라고 정의 합니다 신병은 그가 신에 의하여 무당이 될 사람으로 선택되었다는 신호입니다 그러나 신병이 왔다고 다 무당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허주에 의해 오는 경우는 허주를 벗겨내면 병이 치료되고 일반적인 삶을 살 수 있습니다. 의학적으로 아무런 원인을 찾아낼 수 없으나 다양한 증상으로 고통스럽게 하고 삶을 황폐하게 한다 정신과에서는 이를 정신병으로 분류한다 그 증상은 다양하다.천질과 같은 병은 갑자기 정신을 일어버려 가사상태에 들어가고 일정시간이 지나면 다시 정상적으로 일어난다거나 혹은 호흡곤란, 천식 또 다른 이는 허리통증, 어깨 통증, 여성의 경우 오랜 기간 하혈,암 등의 다양한 병 등으로 나타난다. 이들의 공통점은 병원에서 원인을 알 수 없고, 치료가 되지 않거나 .. 2020. 9. 25.
죽은 신랑과 3년을 밤마다 같이 잔 여자 죽은 신랑과 3년을 밤마다 같이 잔 여자 일전에 어떤 스님으로부터 들은 이야기이다 이 스님은 꾀 잘 불리는 만신의 신랑이다 현재는 조용한 암자를 지키며 조용히 살고 있다 몸이 좋지 않은 만신을 대신하여 계룡산에 100일 기도를 하러 갔다 계룡산에 기도를 갈 때마다 물심 양면으로 도와주던 보살님을 이번에도 찾아가서 왔노라 인사하고 여러 물품을 보시 받고 토굴에 가서 100일 기도에 들어갔다 몇 년 만에 본 그녀는 조금 야위어 있었고 피곤해 보였다 혹시나 몸이 좋지 않으면 약간의 의술로 도움을 줄 요량으로 무슨 일 있느냐고 물었다 그녀는 잠깐 슬픈 얼굴을 하며 3년 전에 신랑이 돌아가셨다고 했다 그러고 보니 선한 얼굴의 신랑이 보이지 않음을 깨달았다 잠시 극락왕생을 빌어주고 준비된 토굴로 돌아가서 100일 .. 2020. 9. 24.